복강경 검사에서는 일상적으로 5mm 및 10mm 포트를 사용합니다. 이들 중 처음 두 개의 인서트를 기본 또는 카메라 포트라고 합니다. 보조 포트는 수술 유형에 따라 개수가 다릅니다. 해부학적 구조의 시각화 및 적절한 식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창자 또는 기타 내장을 철회하기 위해 사례가 어려운 경우 액세서리 보조 포트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모든 실용적인 목적을 위해 기본 포트는 복강의 중심을 표시하고 이 지점에서 모든 구조에 초점을 맞추고 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배꼽 주위를 맴돌게 됩니다. 또한 근막의 모든 층은 배꼽에서 수렴하고 피부와 전방 복막 사이의 거리가 여기에서 임대됩니다. 그러나 해부학적 이유로, 예를 들어 제대 탈장이 있는 환자의 경우 기본 포트는 배꼽 주위에 배치할 수 없으며 두 번째로 이전 수술로 인해 배꼽 주변에 흉터가 있는 경우 기본 포트는 대체 지점에 배치됩니다. 가장 흔한 것은 팔머 포인트입니다. 일차 포트 도입에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지점은 오른쪽 hypochondrium, suprapubic region 및 드물게 오른쪽 iliac fossa입니다. 지금, 우리가 논의한 모든 것은 우리가 복강 내 기관을 다룰 때 유효합니다. 그리고 복강 내 장기 수술을 위한 포트를 결정하는 동안 일종의 고정화에 도달합니다.
일부 장기는 복강내 및 복막외 모두 접근할 수 있으므로 일부 수술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포트는 각각의 복강 내 또는 복강 외 공간에 배치됩니다. 현재 이러한 포트 배치에 대한 표준화는 달성되지 않았으며 이러한 포트의 배치는 주로 개인의 선호도에 따라 달라지며 이러한 공간이 제한되어 있고 복막강처럼 크지 않기 때문에 선택의 여지가 많지 않습니다.
복강내와 후복막 모두에서 접근할 수 있는 부신과 같은 기관을 고려하여 결정은 관련 질환에 따라 내려집니다. 예를 들어 크롬 친화 세포종 – 복강 내, 또는 선이 크거나 악성으로 의심되는 경우 복강 내 소스도 채취합니다. 다른 경우에는 후복막 경로가 선호되며 그 이유는 구체적으로 제시됩니다.
내가 할 수 있는 또 다른 예는 복강 내 및 복강 외 경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사타구니 탈장입니다. 물론 탈장 유형, 이전 수술 등과 같은 요인에 따라 선택이 이루어집니다.
후복막 접근법의 장점.
- 복막강이 들어가지 않아 추후 수술 후 유착이 생길 가능성이 없습니다.
- 요로의 경쟁에 의한 복막강의 오염 위험이 없습니다.
- 복강 내 장기 손상의 위험이 적습니다.
- intraabdominal visceras의 후퇴에 대한 필요가 없습니다.
- 수술 후 기간에 장폐색이 없으므로 요로를 노출시키기 위해 장을 동원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회복이 더 빠릅니다.
- 신장절제술과 같이 기복막을 생성한 후 환자의 자세를 바꿀 필요가 없습니다.
- 대부분의 장기는 후복막이므로 병변 부위에 직접 접근할 수 있습니다.
- 후퇴에 대한 요구 사항이 적기 때문에 더 적은 투관침 천자가 필요합니다.
- 과거 복강내 수술 이력이 있는 특허에서도 안전합니다.
- 경복막 접근법에 비해 장 탈장 발생률이 적습니다.
후복막 접근법의 단점
- 수술을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이 적습니다.
- 후복막에는 랜드마크가 거의 없습니다. 이 접근 방식에는 더 많은 경험과 더 긴 학습 곡선이 필요합니다.
- 이 경로를 통해 CO²의 더 많은 흡수가 있고 기흉 또는 기종격동의 발생률이 더 높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 이 공간은 때때로 신우신염과 같은 염증성 병리를 가진 환자에서 지워집니다.
- 큰 종양 덩어리는 모든 자유 조작이 아닙니다.
경복막 접근법의 장점.
- 수술을 수행할 수 있는 더 많은 공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해부학적 랜드마크는 식별하기 쉬우므로 학습 곡선이 더 짧습니다.
- 큰 종양 덩어리는 큰 복막 공간에서 조작하기 쉽습니다.
경복막 접근법의 단점.
- 나중에 복강 내 유착이 형성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파괴적인 내용물에 의한 복강의 오염.
- Risk of injury to intraperitoneal organs.
- Requires longer operative time.
- Risk increases in patients with previous history of intraperitoneal surgery.
- More chances of bowel herniation than with the retroperitoneal approach.
Ports for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Primary port - 10 mm
subumbilical / transumbilical.
Secondary ports – 5 mm subcostal in the anterior axillary line
5 mm subcostal in the mid clavicular line
10 mm epigastric region to the right of the falciform ligament.
Accessory port - 5 mm or 10 mm
3 to 4 cm above and to the left of the umbilicus.
Subumbilical
Secondary port - 7 mm / 10 mm
Right iliac fossa.
5mm left iliac fossa